화면 공간 구성하기
영화 형식에서는 복잡하게 구조화할 수 있는 많은 요소가 있다. 감독들은 단지 액션이나 대사를 장식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것을 의미 있게 구조화하기 위해서 이 요소들을 사용할 수 있다. 많은 사람이 서부영화를 코미디처럼 단순한 오락물로 생각하기 때문에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는 또 다른 흥미로운 예가 될 수 있다.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는 우리가 영화를 볼 때 바로 그 순간에 화면에서 보이는 공간 외에도 그 이미지를 둘러싼 여섯 개의 외화면 공간 영역이 있다는 사실을 창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 여섯개의 외화면 공간 중 네 개는 매우 쉽게 집어내고 식별할 수 있다. 그것은 이미지의 왼쪽, 오른쪽, 위쪽, 아래쪽의 공간이다. 나머지 둘은 약간 더 복잡하다. 그것은 카메라 뒤의 공간과 지평선 너머의 공간이다. 가령 숲에서의 실외 정지 장면을 상상해보자. 사방에 나무만 있고 인물은 없다. 어떤 여인이 왼쪽에서 장면 안으로 걸어 들어오면 그녀는 우리에게 보이지는 않지만, 이미지 왼쪽 프레임 테두리 너머의 외화면 공간에서 온 것이다. 오른쪽에서 등장했어도 같은 일이 일어난 것이다. 그녀가 위에서 프레임 안으로 떨어졌다면 우리의 시선 위에 있는 나무에 걸터앉아 있었다고 단정할 것이다. 만약 그녀가 밑에 갑자기 튀어 올랐다면 우리의 시선 밑에 웅크리고 앉아 있었다고 단정할 것이다. 그녀가 우리에게 등을 보이며 숲으로 걸어 들어간다면 그녀가 카메라 뒤에서 나타나 카메라로부터 멀어져가고 있다고 추측할 것이다. 그녀가 갑자기 멀리서 작은 모습으로 등장해 우리를 향해 가까이 온다면 지평선 너머에서 카메라를 향해 다가온다고 결론 내릴 것이다. 영화 형식의 이러한 공간적 양상은 간단한 것 같지만 세련되고 복잡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리버티 밸런스를 쏜 사나이'에서 악당 역의 리버티 밸런스의 주요한 등장은 언제나 외화면 공간과의 관계 속에서 일어난다. 플래시백의 첫 번째 장면에서 마차가 카메라를 향해 다가올 때 갑자기 무장한 강도가 프레임 속으로 솟아오른다. 우리에게 밸런스를 처음 소개는 이 장면에서 그는 프레임 테두리 밑에서 프레임 속으로 불쑥 등장한다. 우리가 그를 다시 보는 것은 신본이라는 마을에서다. 우리가 평화로운 식당의 내부를 보고 있을 때 갑자기 프레임 왼쪽의 문을 활짝 열며 위협적인 무법자가 들어와 분위기를 깨뜨린다. 나중에 보안관이 밖에서 보초를 서는 가운데 중요한 마을 회의가 열린다. 갑자기 말발굽 소리가 들리고 밸런스가 뒤쪽 외화면으로부터 카메라 오른쪽 각도에서 강압적으로 등장하자 보안관은 겁에 질린 표정을 지으며 프레임 안으로 물러난다. 밸런스는 마을 회의를 방해하고 참석자들을 위협한다. 마지막 사례에서는 편집장이 사무실에 들어와 램프를 켤 때 신문사 사무실의 내부가 보인다. 어두운 방이 밝아질 때, 밸런스가 위협적인 자세로 뒷벽에 기대어 서 있는 것이 갑자기 보인다. 그는 정적이라는 이유로 편집장을 무자비하게 때린다. 이 경우 조명의 갑작스러운 변화로 우리의 시선은 프레임 내에서 지평선 너머로 연장되고 어두운 외화면 공간이 밝은 화면 공간으로 바뀐다. 각각의 예에서 밸런스는 파괴적인 힘이며 그가 외화면에서 등장하는 방식이 그의 파괴적인 성격을 강화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하면 외화면 공간은 이 인물이 우리에게 주는 충격을 완벽하게 구조화한다.
색상과 사운드
색상과 사운드와 같은 영화의 다른 요소들도 형식적 복합성을 만들기 위해 유사한 방법으로 구조화될 수 있다. 붉은 색상은 '데드 링거'에서 그런 식으로 사용된다. 오프닝 크레딧은 진홍빛 배경 위에 등장한다. 산부인과 클리닉을 운영하는 쌍둥이 형제를 다룬 플롯은 생리라는 문제를 제기한다. 여러 장면에서 우리는 외과팀이 밝은 붉은 가운과 마스크를 쓴 것을 보는데 이것은 크레딧 시퀀스에서의 붉은색을 연상시킨다. 마침내 영화의 결말 부분에서 미친 쌍둥이 한 명이 다른 형제에게 치명적인 수술을 할 때 피투성이의 몸이 보인다. 붉은색은 피를 연상시키는 자유 모티프가 된다. '스카페이스'의 오프닝 장면에서 어떤 남자가 다른 남자에게 총을 들고 다가가서 그를 쏠 때 그의 휘파람 소리가 들린다. 나중에 우리는 같은 남자가 또다시 총을 들고 같은 곡조를 휘파람으로 불면 아파트 복도를 걸어가는 것을 본다. 휘파람 소리가 들리자마자 우리는 그가 또 사람을 죽이리라는 것을 알고, 잠시 후 실제로 그 일이 벌어진다.
우리가 영화를 볼 때 보고 듣는 공간, 색상, 사운드는 영화가 전달하는 스토리에 형식적 복합성을 부여할 수 있다. 가끔 이런 형식적 요소가 단지 한 장면에서 효과를 낼 수도 있고, 혹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인물과 주제를 발전시키는 자유 모티프를 생성하게 할 수도 있다. 어떤 경우가 되었든지 영화에 대해 생각한다는 것은 많은 시각적 청각적 요소의 존재와 이들이 플롯 안에서 형성하는 복잡한 패턴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서사는 영화 형식을 구성하는 하나의 요소이지만 그것이 유일하거나 항상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주의 깊은 영화 관람자가 되려면 우리는 보는 기술과 듣는 기술을 모두 예리하게 연마해야 한다.
'게임의 규칙'은 '시민 케인'이 미국 영화에서 차지하는 것과 같은 위치를 프랑스 영화에서 차지하고 있다. 이 영화는 개봉 이후 널리 찬사를 받았으며 2차대전 발발 직전 프랑스에서의 심각한 문화적 이슈를 살펴보기 위해 롱 테이크, 움직이는 카메라, 딥 포커스 촬영을 창의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1999년에 깜짝 히트한 할리우드 영화 '식스 센스'는 처음에는 외롭고 불안한 소년의 인간관계에 대한 단순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 소년은 자신을 담당한 정신과 의사에게 죽은 사람이 보인다고 말한다. 그러나 영화가 전개되면서 우리는 예기치 않은 전혀 다른 의미를 영화에 부여하는 '비밀'을 알게 된다. 이 '비밀'은 형식적으로 복잡한 전략에 의해 발전이 되고 신빙성을 갖게 된다. 이 전략은 우리 눈앞에서 계속 전개되는 것에 대한 우리의 반응을 교묘히 조종하기 위해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 대한 우리의 기대를 이용한다.
'영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독의 스타일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11 |
---|---|
작가와 감독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10 |
시각적 이미지와 일탈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10 |
모티프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08 |
서사구조에 대한 이야기 (0) | 2023.09.07 |